몸과 마음의 추위를 이겨낼 예술 활동들💪
올해 여러분은 어떠한 시간들을 보내셨나요?
만아츠 만액츠는 금천과 노원, 온라인을 종횡무진하며 예술가와 시민, 주민과 재단 등
다양한 만남으로 바쁜 시간들을 보냈는데요.
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이제 곧 노원에서 소개될 예술가들의 창작 결과물을 프리뷰하고
예술가-시민과 연계한 예술 활동 내용을 소개합니다.
추위도 물러나게 만들(?) 뜨끈뜨끈한 소식들! 바로 시작합니다.
🏃🏃♀️ |
|
|
💡 11월! 기다리고 기다리던 <제3의 장소> 야외 설치작품 |
|
|
📌하천의 생태통로이자 연결고리, IVAAIU CITY <Ecological LOOP>
#당현천 #하천 인프라 #생태촉진 구조 #생태통로 #정서적 연결고리 #공생 #화분 유닛 #네트워크 유닛
#데이터시각화 |
|
|
IVAAIU CITY, <Ecological Loop> 작품 구상안, 2023
엔지니어드 플라스틱(3D 프린팅), 프로그램드 라이팅, 5.3mx1mx3.5m (데이터시각화 영상)
(이미지 출처=IVAAIU CITY) |
|
|
먼저 IVAAIU CITY는 당현천 내 인공섬의 생태환경이 일정 부분 격리되어 형성되어 있다는 장소성에 주목합니다.🔭 <Ecological Loop>는 당현천 내 식생들의 연결을 만들어 줄 수 있는 ‘생태 촉진 구조체’를 제안하는데요. 아치의 형태로 고안된 본 구조체의 ‘화분 유닛’과 ‘네트워크 유닛’으로 구성되며, 당현천에는 분포하지만 인공섬 안에는 존재하지 않는 뚝새풀, 청사포와 같은 식생들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실험입니다.🧪
|
|
|
📌 하천과 고가하부의 시시각각 다른 풍경과 존재, 조재영 <Future Nomade>
#당현천 #하천 인프라 #고가하부 #달 #생명력 #생성과 소멸 #움직임 #반영성 #밤의 낭독회 #무의식 #공통감각 #공생 |
|
|
조재영, <Future Nomade> 작품 구상안, 2023
스테인리스 스틸, 우레탄 도색, 아크릴 거울, 3mx2.6m, 2점
(이미지 출처=조재영) |
|
|
한편 조재영은 ‘나-너’, ‘인간-자연’ 등 분절적인 사고 대신에 전체적이고 통합적인 인식으로의 이행과 전환의 필요성을 <Future Nomade>를 통해 보여주고자 합니다.🌓🌔🌕 약 28일을 주기로 생성과 소멸의 과정을 거치는 달의 움직임을 시각화하고 거울 속에 주위 환경들이 투영되도록 설치하는 본 작업은 당현천의 시시각각 다른 풍경과 다양한 생명체들을 비추고 드러내도록 고안됩니다. 설치 기간 중 참여형 퍼포먼스 <밤의 낭독회> 진행되는데요. 무의식을 깨우고 자연과의 통합된 감각을 경험하고 싶은 분들은, 뉴스레터 하단에 참여방법을 소개 드릴테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
|
|
💡 기후위기 공감을 위한 예술가-시민의 드로잉 릴레이: ChatGreenPT🌏 |
|
|
기후 시민을 위한 예술가와 시민의 다양한 릴레이 예술 활동을 표방한 릴레이 액션! 이전 뉴스레터🔗를 통해서 텍스트-사운드-드로잉이 결합된 자신만의 <기후 위기 책 만들기> 워크숍과 웹아트를 소개해 드린 바 있는데요.🔗 이번에는 지난 8월부터 진행하고 있는 릴레이 액션의 <ChatGreenPT>의 진행을 소개합니다. 두구두구두구~
🔗뉴스레터 5월호_릴레이액션, 끝이 아닌 시작🔥
인공지능(AI)에 익숙한 사람이라면 ‘ChatGreenPT’라는 용어가 어딘가 친숙한 듯 낯선 느낌을 받으셨을 텐데요.🤔 대화형 인공지능 ‘챗GPT(ChatGPT)’에 ‘green’을 결합한 <ChatGreenPT>는 현대 도시가 직면한 기후 위기에 대한 이슈를 ‘어느 누군가’의 이야기가 아닌, ‘지금-여기 나’의 문제로 소환하기 위한 시민 참여 기반 공공예술 프로젝트입니다.
작품을 통해 예술가의 생각을 수동적으로 수용하는 기존의 예술 방식에서 벗어나, 두 명의 페인터로 구성된 예술그룹 그린코믹스(Green Comics)가 프로젝트 참여자와 마치 릴레이를 하듯 서로의 생각에 상호작용하며 예술 활동을 이어나가는 새로운 방식의 공공예술입니다. 그럼 만아츠 만액츠가 <ChatGreenPT>를 통해 어떠한 기후 위기 대응 예술 활동을 이어나갔는지 한번 들여다볼까요? Let’s Green~! 🌏🏃🏃🏃
|
|
|
📌PART 1, 그린코믹스가 시민 답변에 응답하다!
#기후위기 #말씀해주시면 #그린코믹스가 #그려드립니다🎨🖌️ |
|
|
만아츠 만액츠는 지난 두 달간, 오프라인과 온라인에서 그린코믹스가 작성한 설문조사를 통해 시민들의 ‘기후 위기’에 관한 시민들의 생각을 수집했습니다. 그리고 ‘기후 위기’에 대한 시민들의 답변에 그린코믹스가 <ChatGreenPT>를 통해 드로잉으로 응답하였습니다. |
|
|
<ChatGreenPT> 시민 참여 기후위기 설문조사 현장, 시립노원청소년센터
(이미지 출처=만아츠 만액츠) |
|
|
참여해 주신 시민들은 초등학생부터 성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였는데요, 그중 가장 많은 분들이 답변을 주신 내용을 살짝 공개합니다. 여러분도 질문에 답변을 떠올려 보세요~🤫
1️⃣
그린코믹스의 질문: 기후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갖고 싶은 초능력은 무엇인가요?
시민들의 답변: 쓰레기를 한 번에 없애는 능력
2️⃣
그린코믹스의 질문: 기후 위기를 해결하는 데 가장 적합한 슈퍼히어로는 누구인가요?
시민들의 답변: 가장 적합한 슈퍼 히어로는 ‘나’
기후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있는 것은 결국 ‘특별한 능력’이 아닌 ‘개인의 실천’이라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었네요. 👏👏👏
|
|
|
📌PART 2, 시민이 그린코믹스 드로잉에 응답하다!
#기후위기 #슈퍼히어로 쿨맨 등장 #시원한 바람을 불어 온도를 낮추려 했으나 #모든 것을 얼려버림 #시민참여 |
|
|
<ChatGreenPT>의 두 번째 기후 위기 대응 릴레이 액션은 그린코믹스가 제시한 5장의 드로잉에 이어 시민이 마지막 장면을 완성시키는 드로잉 프로젝트입니다. 이번 프로젝트는 아이와 부모님이 함께 그려보는 오프라인 프로그램과 아이패드로 드로잉을 완성하는 온라인 프로그램으로 나뉘어 진행되었습니다. |
|
|
그린코믹스가 제시한 5장의 드로잉 이미지
(이미지 출처=그린코믹스) |
|
|
기후 위기로 인해 불같이 더워진 날씨를 해결하기 위해 그린코믹스는 슈퍼히어로 ‘쿨맨’을 등장시켜 지구의 온도를 낮추려 했으나, 쿨맨의 능력이 너무 뛰어났던 것일까요? 모든것을 얼려버리고 맙니다. 😱😱😱
<ChatGreenPT>에 참여해 주신 시민분들은 이러한 절망적인 지구의 모습을 희망적인 미래로 드로잉을 완성해 주셨습니다. |
|
|
<ChatGreenPT> 드로잉 프로그램 시민참여 현장, 금나래갤러리
(이미지 출처=만아츠 만액츠) |
|
|
시민들의 완성된 드로잉은 12월 서울대 파워플랜트에서 전시로 공개될 예정입니다. 11월 뉴스레터🔗에서 소개될 12월 만아츠 만액츠의 <?The Next!> 성과공유회&포럼도 기다려주세요!👏👏
👉ChatGreenPT 드로잉 보러가기: 인스타그램 @10000arts10000arts 또는 @greencomics
👉ChatGreenPT 기후위기 인식조사 참여하기: 구글폼 바로가기
|
|
|
✨주목! <제3의 장소> 작품 연계 낭독 퍼포먼스
🌜밤의 낭독회🌛참여자 모집✨
노원 당현천의 고가 하부에 설치된 예술가 조재영의 작품 <Future Nomade>에서 진행되는 퍼포먼스에 참여자를 모집합니다.🌜
<Future Nomade>는 여성과 우주생명의 근원을 상징하는 ‘달’의 변화와 움직임을 입체적으로 표현하고 다양한 생명체의 서식지이기도 한 당현천의 장소성을 내포한 작품입니다. 이러한 작품의 주제의식과 연동하여, 참여자들은 신화 텍스트를 낭독하고 자신의 이면을 상징할 수 있는 간단한 장신구, 가면, 의상을 제작합니다. 이후 당현천 인근 작품 근처에서 낭독을 주고받으며 함께 움직여봅니다. 우주적 차원에서 인간 이외의 다른 존재로까지 자신을 확장시키며 무의식 너머의 자신을 사유해보는 예술적 리추얼을 경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본 프로그램은 총 2회에 걸쳐 무료로 진행되며, 동일한 프로그램이 아닌 1, 2회차 연계 프로그램입니다.💥
📍대상: 작품의 주제에 공감하는 누구나 (12명 선착순)
📍구성:
- 1회차: 온라인에서 만나 신화 관련 텍스트를 함께 읽으며 주제에 관해 이야기 합니다.
- 2회차: 장신구, 가면 등을 만든 후 다함께 당현천을 돌며 낭독을 이어갑니다.
📍 일시 및 장소:
- 1회차 - 12월 15일(금) 저녁 8시 / 온라인 줌
- 2회차 - 12월 16일(토) 오후 4시 / 중랑천환경센터, 당현4교 교량하부
📍 참여방법: 구글폼(https://forms.gle/6UWweRDHQSHeNxQw8) 사전 신청 (신청마감 12월 6일까지)
📍 문의: 10000arts10000acts@gmail.com, 02-464-5753 |
|
|
|